2019 KBS사우회 남한산성[南漢山城] 문화탐방.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964415DB3754C10)
-. 일시 : 2019. 10. 25.(금요일)
-. 장소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南漢山城].
-. 인원 : KBS사우회 회우 68명.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91A415DB3754A10)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8F7415DB3754910)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902415DB3754A10)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1DF415DB3754B1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11C3F5DB30E2E09)
![](https://t1.daumcdn.net/cfile/blog/99274A3F5DB30E2E0B)
남한산성 수어장대
산성 서편의 수어장대는 남한산성 4장대 중의 하나로
인조 2∼4(1624∼1626)년 사이에 군사적 목적으로 지은 누각.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6CA3F5DB30E2F30)
수어장대란 요새 방어를 맡은 수어사가 지휘, 명령하는 곳이며,
건립 당시는 단층누각으로 '서장대'라 하였고, 영조27(1751)년
유수 이기진이 2층 누각을 증축하여 내편은 무망루, 외편은 수어장대라 명명하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F1EB3F5DB30E3033)
남문 : 성남으로 통하는 관문
병자호란 당시 인조가 처음 남한산성으로 들어올 때 바로 이 문을 통해서 들어왔다고 한다.
인조는 이곳으로 피신하여 45일간 항전하였다. 하지만 왕자들이 피신해 있던 강화도가
함락되고 패색이 짙어지자 세자와 함께 성문을 열고 삼전도에 나가 치욕적인 항복을 하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8A73F5DB30E3035)
남문의 또 다른 이름은 지화문(至和門)이다. 정조 3년 성곽을 개보수할 때
지화문이라 칭했다. 남문은 남한산성에 있는 4대문 중 가장 웅장한 중심문이다.
현재는 성남으로 통하는 관문 역할을 하고 있는데, 때문에 사람들의 출입이 가장 빈번하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2C43F5DB30E3137)
![](https://t1.daumcdn.net/cfile/blog/99EDA23F5DB30E3133)
수어장대는 인조14(1636)년 병자호란때 인조가 친히 수성군을 지휘하면서
청태종의 12만 대군과 대치하며 45일간 항전으로 버티던 곳이며,
항전 45일만에 삼전도에서 굴욕적인 항복을 하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2143F5DB30E3234)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2DF405DB30E3202)
남한산성 南漢山城
조선시대 남한산성은 주봉인 해발 497.9m의 청량산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연주봉(467.6m),
동쪽으로는 망월봉(502m)과 벌봉(515m), 남쪽으로도 여러 봉우리를 연결하여 성벽을 쌓았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909405DB30E3335)
성벽의 바깥쪽은 경사가 급한데 비해 안쪽은 경사가 완만하여,
방어에 유리하면서도 적의 접근은 어려운 편이다.
봉암성(蜂巖城), 한봉성(漢峰城), 신남성(新南城) 등 3개의 외성과
5개의 옹성도 함께 연결되어 견고한 방어망을 구축하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F6C1405DB30E342A)
성벽과 성 안에는 많은 시설물과 건물이 있었지만,
지금은 동·서·남문루와 장대(將臺)·돈대(墩臺)·보(堡)·누(壘)·
암문·우물 등의 방어 시설과 관청, 군사훈련 시설 등이 남아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313405DB30E350C)
남한산성의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게 인정되어 2014년 6월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총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신규 등재되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44F405DB30E3515)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380405DB30E3618)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B75355DB30E3722)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D4C355DB30E370B)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8DF355DB30E382E)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E42355DB30E3804)
![](https://t1.daumcdn.net/cfile/blog/9901BA355DB30E3902)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64F355DB30E390D)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899355DB30E3A3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C20345DB30E3A2D)
![](https://t1.daumcdn.net/cfile/blog/998C2B345DB30E3B05)
![](https://t1.daumcdn.net/cfile/blog/99FE15345DB30E3C1A)
![](https://t1.daumcdn.net/cfile/blog/990AD4345DB30E3C09)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659345DB30E3D12)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960415DB3754C10)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9C7415DB3754D10)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319415DB3754D1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0CE365DB3754E1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0E4365DB3754E1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21E365DB3754F1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27E365DB3754F1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E23C345DB30E3D29)
원본이 가지런히 보관되어 있는곳 http://blog.daum.net/afakim/13716265
Daum Blog 觀主의 카메라 기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