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 용어*
가이드(mountain guide) 산의 안내자. 직업 등산가로 보수를 받는 직업적 등산안내인.
개념도(등산용 지도) 산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한 지도.개념도는 산정에서의 능선과 수계(水系)에 의해서 표시된다.그러나 큰 산행을 할 때는 지형도를 사용한다.
경기 5악 서울의 관악산.개성 송악산.가평 화악산.파주 감악산.포천 운악산을 경기 5악이라 하며. 관악산을 경기 5악 중 1악으로 한다.
계곡산행 계곡의 하류에서 상류를 향하여 거슬러 오르는 산행
계곡등반 계곡의 하류에서 상류를 향하여 올라가는 등반을 계곡 등반이라고 말한다.여름 장마철에는 위험하므로 절대적으로 피하고 우기가 지난 절기에 하면 충분히 그 묘미를 즐길 수 있다.
고글(goggles),보안등산안경:동계등산이나 고산 등반시 눈을 보호하기 위해 쓰는 안경.
고산병(高山病)
해발고도 2,500~3,000M 이상의 산에 올랐을 때 볼 수 있는 병적 증세로 높은 산에 오르면 기압이 낮아지므로 두통 오심 구토 정신 혼미 등의 증세가 일어나는데 심각한 증세로 악화되기도 한다.
고도순화(acclimatization)
고산병을 예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 인체가 갑작스런 환경의(기압, 온도 기타 등등)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차례로 고도를 높이며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함
골리(gully)산의 사면이 패여 들어 험하고 가파르게 드리워진 곳
골산 (骨山) 암산(岩山) 또는 바위산이라고 한다. 바위나 돌이 많은 산.바위산은 여러 가지 모양의 형상을 이루어 신비하고 아름다움으로 인간에게 정서적 감각을 자극한다. 국립공원 설악산. 대둔산. 북한산. 월악산. 월출산 등이 바위산(암산)이다.
육산은 흙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울창한 숲이 조성되어있다.국립공원 지리산.덕유산.치악산. 소백산 같은 산들이 육산에 속한다.
기점(起點) : 등산로가 시작되는 지점.
글리세이드(glissade):눈사면을 등산화 바닥으로 속도 조절하면서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
나이프 릿지(knife ridge) : 칼날처럼 날카로운 암릉(능선)
너덜(너덜지대) 스톤니 슬로프(stony slope)
돌이 많이 흩어져 덮인 비탈. 산비탈에서 암석이 무너져 내려 쌓인 돌더미
능선(稜線, ridge) 산줄기 산등성. 골짜기와 골짜기를 사이에 있는 산등성이로 분수계를 이루는 곳.
담(潭) : 물이 고인 깊은 웅덩이.
된비알 : 몹시 험하고 가파른 비탈을 말한다.
들머리 : 어느 곳으로 막 접어드는 곳. 들목. 어귀. 초입. 어떤 일이 처음 시작되는 무렵. 첫머리.
날머리: 하산지점의 마지막 벗어나는 지점을 일컫는다.
함: 들머리의 반대
등날: 산줄기에서 가장 높은 부분으로 이어진 선
마루: 등선을 이루는 지붕이나 산 등의 꼭대기
등반 (climbing) 등산중에서 특히 암벽이나 빙벽을 오르는 것과 같이 발로만 걷는 것이 아니고 손도 사용하여 기어오르듯 오르는 행위를 등반이라고 말하며 영어의 클라이밍과 같은 개념이다.
등산 산에 오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 일을 통하여 심신을 단련하고 즐거움을 목적으로 하는 산행
격시등반:등반시 안전을 위해 한사람씩 차례로 오르는 방식.
루트(route) 출발 지점과 목적지를 잇는 경로를 말한다. 따라서 루트는 반드시 정해진 코스에 그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름길 우회하는 길을 통하는 수도 있다. 암벽 등반의 경우는 등반 시작에서 종료 지점까지의 코스를 말한다.
로프(rope)등반할때 파트너의 확보나 현수하강에 쓰이는 밧줄을 말한다 로프는 장기간 자외선을 쪼이면 품질이 떨어져 강도가 저하된다.
리더(leader) 등산팀의 지휘자 즉 대장을 말한다.우수한 리더는 대원들의 의지가 자연스럽게 바람직한 결론에 도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지(ridge) : 바위능선을 말함.
러셀:(russel) 설차를 고안한 미국인의 이름에서 유래된 말로서 깊은 적설을 헤치고 전진하는것을 말한다.
목출모. 발라클라바(balaclava) 머리와 얼굴을 완전히 덮어 씌우고 눈만 나오게 만든 방한용 모자를 일컫는 일본식 조어이다.
분기점.갈림길 산등성이나 계곡 줄기 등산로등이두 갈래 이상으로 나눠지는그 지점을 분기점이라고한다
비박 (bivouac) 등산이나 캠핑할 때의 악천후나 사고 등으로 불시에 노숙 또는 야숙(野宿)을 말한다.
행동식:등산 행동중 먹는식량,겨울식량이나 암벽등반등 시간과 효율이 요구되는 경우 간단히 먹을 수있도록 준비한 식량.고칼로리로 소화가 잘되는 것으로 준비..
산판길 : 벌채하기 위해서 차량 및 운반 수단 이용을 위한 산길.
산행 (산행) 산길을 걸어 운동과 심신 단련 등을 목적으로 산에 가는 것.
횡단산행;산행기점과 하산지점을 다르게 하는 산행. 어느 지점에서 산정상에 올라갔다가 능선이나 계곡을 따라 다른 지점으로 하산하는 방법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방법으로 산행을 한다.
왕복산행 한 산에서 같은 코스를 오르내리는 초보적인 것
원점회기산행 오르는 코스와 하산코스를 달리하여 산행기점으로 하산하는 산행. 승용차를 갖고 가거나, 횡단산행시 하산지점의 교통이 불편할 때 주로 한다.
종주산행 몇 개의 산정(山頂)을 연속적으로 걷는 방법. 횡단산행과 함께 등산의 형식 중에서 가장 전통적이면서도 기본이 되는 형태다. 주로 능선을 따라 하는 산행으로 비교적 산행코스가 긴 것을 의미하며 짧은 산행코스는 횡단산행에 불과하다.
삼각점(三角點, trigonometric point)
삼각측량을 할때 기준점을 말한다. 삼각점은 사각기둥의 화강암으로 만든 표석이며. 삼각점은 보기 좋은 봉우리의 정상에 설치하며 1급 삼각점이 있는 산을 오르는 것도 좋은 산을 오르는 방법이다.
삼대폭포한국의 3대 폭포는 금강산의 구룡폭포. 개성의 박연폭포. 설악산의 대승폭포.
상고대 나무나 풀에 흰 꽃이 핀 것처럼 아름다운 경치를 나타내며.겨울철 청명한 밤에 기온이 0°C 이하일 때 대기중의 수증기(구름 안개)가 승화되어 냉각된 지물에 부착되어 눈같이 된 서리.
상봉산에서 가장 높은 봉. 설악산에서는 대청봉.북한산 백운대. 지리산 천왕봉이 상봉이다.
설화(雪花�雪華)눈꽃 나뭇가지에 꽃처럼 붙은 눈발.
빙화(氷花 ): 식물 따위에 수분이 빙결하여 흰꽃처럼 되는 현상.
소(沼) 산중 계곡의 깊은 물이 고인 곳.
소로(小路) 산중의 좁은 길. 등산로는 대개 소로다.
숫눈길: 눈이 내린 다음 아무도 지나지 않는 눈길
스틱 (stick): 등산용지팡이.
스패츠(Spats. 게이터Gaiters) 스패츠는 눈이 신발 속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빙벽등반 시에도 크램폰으로 부터 바지를 보호하고 낙수의 침투를 막아 준다.
슬랩 (slab) 표면에 요철이 없고 매끄러운 경사를 이룬 넓은 바위를 지칭한다.
슬로프(slope) : 비탈 또는 사면. 경사면을 말한다.
슬리핑백(sleeping bag)침낭 : 야외에서 노숙할 때에 쓰이는 침구.
아이젠 (eisen) 등산화 바닥에 부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겨울철등산용구.빙벽을 오르내리거나 빙판�눈 위를 걸을 때 아이젠 발톱이 고루 얼음이나 눈에 박히도록 하고 속도와 보폭을 유지한다.
암릉 (岩稜) : 바위로 이루어진 능선.
안부:산의 능선이 낮아져서 말안장 모양으로된곳 산줄기가 움푹 들어간 곳
오악(五嶽) :한국의 이름난 5개의산을대표하는 백두산.금강산.묘향산.지리산.삼각산(북한산)을일컫는다.
자일 (Seil) : 등산에 이용되는 로프. 암벽이나 빙벽을 오르내릴 때. 어려운 등반을 할 때는 반드시 휴대해야 할 장비이다.
저체온증: 체온이 낮아지며 졸음이 심하게 오는 증상. 겨울 등산 중 조난사고로 추위에 체온을 유지하지 못하여 의식이 혼미해져 사망에 이르는 사고가 있다.
* 일반적으로 중심체온이 35℃ 이하로 내려가면 심장·뇌·폐 또는 기타 중요한 장기의 기능이 저하되기 시작하고, 27℃ 이하가 되면 부정맥이 유발되며, 25℃ 이하가 되면 심장이 정지하여 겉으로 보기에는 사망한 것처럼 보인다. 증세는 다음과 같다. ① 오한:초기에는 체온유지를 위하여 떨게 되지만 체온이 32℃ 이하인 경우에는 오한이 일어나지 않는다. ② 근육운동 저하:초기에는 미세한 운동이 장애를 받지만, 나중에는 운동장애가 일어나는 것을 육안으로도 알 수 있다. ③ 의식장애:호흡·맥박·혈압·체온 변화 등이 일어나는데, 맥박이 느려지고 호흡이 감소하며, 혈압이 저하된다. 이를 방치하면 사망한다 *
조난:산이라는 광대한 대자연은 항상 위험 발생이 따르게 마련이다. 조난 사고의 원인은 암벽추락. 눈사태. 폭우. 기상악화. 체력한계 등으로. 많이 발생하게 된다.
조망(眺望) : 바라보이는 경치.
족적(足炙) : 사람이 밟고 지나간 흔적.
주봉:주봉우리
지계곡(支溪谷) : 계곡의 원줄기에서 뻗어 나간 가지에 해당하는 계곡. 지류
지류 (支流) : 계곡의 원줄기에서 뻗어 나간 가지 계곡. 지계곡.
침낭 (sleeping bag) : 야외에서 노숙할 때에 쓰이는 침구.
침봉 (針峰) : 바늘처럼 날카롭게 솟은 봉우리.
트레버스(traverse) : 산을 가로질러 가는 일.
트레킹 (t안부(鞍部)= 능선에서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움푹 들어간 부분. rekking) 전문 산악인들의 산행용어.도보여행으로 산 들과 바람 따라 떠나는 사색여행.
피나클 : 날카로운 봉우리가 연속해 늘어선 능선.
피켈 (pickel) 괭이. 지팡이. 도끼의 세가지 기능을 갖춘 눈. 얼음장비를 말한다. 지팡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본래는 피크를 빙벽에 찍어서 오르는 것이다.
패넌트(pennant)
산에서 코스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남겨 두는 작은 깃발 또는 작은 천이나 베. 낮은 산에서는 나뭇가지 등에 달아놓지만. 다른 파티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그룹 이름을 적어 넣어서 식별해 두는 일이 많다.
킥스텝(kick step):눈비탈을 오를때 등산화로 눈을 차면서 발디딤을 만들어 오르는 기술.
* 시그널(signal) 끝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행 거리 및 시간 계산법 (0) | 2011.11.24 |
---|---|
산에서 길을 잃는 세 가지 공식 (0) | 2011.11.24 |
꼭 알고 있어야 하는 등산기술 노하우 12가지 (0) | 2011.11.24 |
술에 취해 휴대전화 불빛으로 등산하다가… (0) | 2011.11.24 |
안전한 겨울 산행을 위해... (0) | 2011.11.24 |